[무죄] 강간치상
의뢰인은 여성이 술을 마셔 정신을 잃은 점을 이용하여 그 여성을 강간하였고, 그 과정에서 여성에게 상해를 입혔다는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변호인의 조력을 받아 무죄를 받은 사례.
의뢰인 혐의
의뢰인은 술을 마셔 몸을 가누지 못하는 여성을 모텔로 데려가 간음하고, 그 과정에서 여성의 신체에 상해를 입혔다는 혐의(강간치상)로 입건되었습니다.
사건의 경위
의뢰인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게 된 여성과 술을 마시게 되었고, 서로 동의 하에 모텔로 이동하여 성관계를 갖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후 연락이 뜸해지자, 여성은 의뢰인이 자신을 강간하였다며 수사기관에 고소하였고, 의뢰인은 강간치상 혐의로 조사를 받게 되었습니다.
사건의 특징
강간치상은 강간죄에 비하여 처벌이 무거운 편입니다(5년 이상의 징역형).
이는 살인죄의 하한형과 동일하며, 실무적으로도 중형이 선고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피해여성은 자신의 몸에 난 멍 사진 등을 수사기관에 제출하였고, 수사기관 역시 이 사건을 단순 (준)강간이 아닌 강간치상 혐의를 적용하여 기소하였습니다.
태하의 조력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을 탄핵하는 것에 주력하였습니다.
피해자를 증인으로 신청하여, 모순된 진술과 객관정 자료에 배치되는 진술부분을 집중적으로 공략하고,
고소 동기를 강조하는 등 화간이었음에도 감정이 틀어져 강간사건으로 변질되었음을 어필하였습니다.
사건의 결과
법원은 담당 변호인의 주장을 인용하며, 의뢰인에게 무죄를 선고하였습니다.
유죄가 선고되었다면 의뢰인은 필히 구속되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변호인의 조력으로써 구속이라는 최악의 결과를 모면하였을 뿐 아니라, 억울한 성범죄 누명도 벗게 되었습니다.
담당변호사의 한마디
일반 형사사건과 성범죄 사건은 크게 다릅니다. 성범죄에 대한 이해와 접근방식을 잘 알고 있는 변호인의 조력을 받으시기 바랍니다.